본문 바로가기

IT

진화하는 로봇 산업과 사회

기존 산업용 로봇이 한 팔만 가졌다면, 특수목적으로 개발 중인 로봇은 작업용 팔이 두 개다. 움직이는 물체를 한 팔로 잡은 뒤 다른 팔로 가공할 수 있다. 두 팔 로봇은 작업 효율이한 팔 로봇보다 여섯 배 높다. 인류로 빗대면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서 호모 에렉투스로 진화한 셈이다. 이 로봇의 또 다른 특징은 작업에 따라 사람의 손에 해당하는 ‘모듈’을 갈아 끼울 수있다는 점이다. 이전엔 운반용 로봇, 조립용 로봇, 포장용 로봇을 따로따로 마련해야 했다. 하지만 ‘양팔 로봇’ 한 대로 운반·조립·포장이 다 가능하다.

로봇이 갖는 장점과 동시에 ‘로봇의 발달이 우리의 일터를 빼앗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암울한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뉴욕대 교수는 다보스포럼에서 “로봇이 이끄는 제3의 산업혁명으로 인간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옥스퍼드대 연구팀은 "20년 후 미국의 일자리 47%가 소멸된다"고 했고, 미국 다빈치 연구소장은 “2030년 일자리 20억 개가 사라진다”고 밝혔다.

문제는 ‘로봇 혁명’이 전부가 아니라는 거다. 인공지능과 3D 프린팅 등 기술 진보는 육체 노동뿐만 아니라 상당수의 지적 노동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로봇과 컴퓨터의 대체 가능범 위는 더욱 넓어질 것이며, 비숙련 노동은 물론 숙련 노동·전문 노동도 그 범주에 포함될 수있다.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중산층들의 경제적 지위가 불안해질 수도 있다.

요즘 로봇은 시각인식·인공지능·다관절 등 첨단 기능을 갖춰 사람의 섬세한 동작을 보면 그대로 따라하는 수준까지 개발됐다. 일반 산업용 로봇 가격은 점차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미국 자동차 제조업의 산업용 로봇의 운영비는 이미 일반 패스트푸드 매장 직원의 임금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고 한다. 익명을 요구한 한 로봇 전문가는 “2만 명이 근무하던 중국의 한 공장 에서 최근 로봇이 투입된 뒤 로봇을 관리하는 직원 100명만 남은 사례가 있다”고 말했다.

인공지능의 초기 형태인 지능형 알고리즘은 빅데이터와 맞물려 무섭게 발전하고 있다. 계산과 같은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에서 벗어나 분석과 예측까지 가능하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음성 비서 서비스인 ‘코타나’는 아카데미 수상자 24명 가운데 20명을 정확히 맞혔다. 영화와 배우의 빅데이터를 검색엔진으로 분석한 결과다.

미국 언론계에선 ‘로봇 저널리즘’이 화제다. 시간을 다투는 금융, 결과가 숫자로 쉽게 나타 나는 스포츠 분야 보도에서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기사를 작성하고 있다.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술의 발달로 사무직뿐만 아니라 의사·변호사·회계사 등 전문직도 일자리를 위협받을수 있다고 분석했다. 맥킨지 글로벌 인스티튜트는 2025년 로봇이 전 세계 제조업 일자리 4000만~7500만 개를 뺏는 반면 알고리즘은 1억1000만~1억4000만 명의 일을 대신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렇다면 로봇과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자리를 얼마나 잠식할 것인가? 일자리의 미래를 낙관하는 쪽이 좀 더 많다.

미국의 여론조사업체는 과학자·개발자·기업인 등 전문가들에게 ‘로봇이 사람의 일자리를 빼앗아 갈 것으로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그러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52%)이 ‘그렇다’(48%)보다 약간 높게 나왔다. 이런 논리의 기본은 헨리 포드가 대량생산 방식을 도입해 '포드T'를 만들면서 많은 노동자가 해고됐다. 그러나 자동차 가격이 떨어져 주문이 늘면서 고용도 증가했다. 교통수단 발달로 관광과 같은 새로운 산업에서 일자리가 생겨났다. 로봇도 마찬가지라는 논리이다.

반면 비관론자는 생산성이 증가하고 경제가 성장해도 고용은 늘지 않아 중산층이 무너질 수도 있다고 본다.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더라도 전환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또 그 일자리의 질이 낮을 수도 있다. 『제2의 기계 시대』 저자인 미국 MIT 교수는 “저숙련 일자리는 육체노 동이 많기 때문에 여전히 수요가 있다. 하지만 중간 정도 숙련을 요구하는 일자리는 여러 기계가 대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노동시장이 바뀌는 과정에서 일자리의 양적 감소, 고용의 질적 저하, 과거 직업 종사자들의 도태가 일어날 수 있다.

로봇과 인공지능이 위협하는 일자리는 부지기수다. 이런 일자리로 미국 방송사 NBC는 약사, 변호사, 운전사, 우주비행사, 점원, 군인, 베이비시터, 재난구조원 등을 선정했다. 옥스퍼드대 연구팀은 텔레마케터, 파쇄기계 운전기사, 굴착기 운전기사, 약제사, 조림 근로자, 동물 관리인 등이라고 내다봤다. 단순노동·비숙련직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자동화가 많이 됐기 때문에 당분간 안전하다. 그러나 벌이는 시원찮다.

인간의 비교 우위가 지켜질 분야도 있다. 이발사, 승무원, 코디네이터, 제빵사 등 섬세한 사람의 손길이 필요한 분야다. 로봇 개발이 어렵고 개발하더라도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시니어 산업과 같이 다른 사람과 정서적으로 교감을 나눠야 하는 직업도 끝까지 경쟁력을 지킬 것으로 전망된다.

로봇산업은 전기, 전자, 기계, 통신, 금속, 전산 등 모든 관련 산업을 아우러는 융합 산업이며, 특히 우리나라의 로봇산업은 현재의 반도체·자동차산업의 뒤를 이은 마지막 황금시장이다. 현재 국내 로봇기술의 수준을 감안한다면 로봇산업은 우리가 세계 3대 강국으로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마지막 산업 분야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