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연장과 병 치료 및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에 따라, 과도한 업무량을 요구하는 의료 시술과, 의료 서비스의 보편화에 따른 간호사의 단순 노무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단순 반복적인 작업의 의술과 첨단의술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간호사의 단순 노무를 보조하거나, 시술후의 병간호를 보조하는 지능 로봇을 개발하여, 미래의 인간의 수명과 건강을 로봇의 의해 개선하여 고령화, 선진 사회를 위한 대비가 필요하다.
21세기에는 생체 역학을 이용한 신체 대체 및 복원 기술 등이 필요한 기술로 부각되고 있으며, 또한 인간은 공간과 환경에 대한 제약을 덜 받고, 보다 많은 시간을 여가활용에 할애하는 생활을 진보된 의료지원 기술에 의해 구현하고자 하는 사회적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이를 수용하는 기술로써, 의료지원 로봇의 개발은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다
① 수술용 : 뇌수술과 같이 지극한 정밀성을 요구하는 곳의 수술용으로 혹은 방사선 치료 등과 같은 곳에 쓰이며, 앞으로는 보다 더 넓은 수술분야에 응용이 될 것이다.
② 간호용 : 환자를 돌보는 일은 잠시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일이며, 이에 따른 간호의 어려 움이 있다. 현재에도 환자의 보행을 도와주는 로봇 및 환자의 상태를 항상 검사하는 로봇 사용이 되고 있다. 기타 의수족용에도 사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의 개발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즉 시장성이 부족한 편이며, 가격 또한 비싼 편이어서, 현재는 대부분 정부, 혹은 독지가의 후원으로 개발이 되고 있다.
다빈치 수술로봇
ㆍ다빈치 로봇수술은 다빈치(daVinci)라고 불리는 로봇을 이용한 수술방법으로써, 환자는 수술대에 누워있고 수술하는 의사는 콘솔에 머리를 넣고 3차원 영상을 보며 원격으로 로봇을 조종하며 수술한다.
ㆍ정확히 로봇이 수술을 한다고 이야기하는 것 보다는 로봇이 도와주는 수술이란 표현이 맞다. 기존의 복강경 수술의 장점인 그대로 이어 받으며 추가적으로 로봇 암이 360도 회전하 면서 얻게 되는 기술적 편리함과 동시에 떨림이 없이 미세 봉합이 가능하여 현존하는 최고의 최소 침습 수술 (MIS)을 시행한다. 또한 기술자는 3차원의 영상을 방해 없이 자신이 조정하 면서 수술을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ㆍ그러나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장비 자체가 고가라서 수술비 역시 기존의 수술 방법에 비해 고비용이다. 게다가 소독 등 재정비에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하루에 2건 이상의 수술이 어렵다고 한다.
ㆍ환자는 전신 마취를 다른 수술과 다름없이 한 뒤 로봇의 암을 환자 복강내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에는 수동으로 복강경 수술과 마찬가지로 의사가 직접 위치를 설정하여 복강 내 가스를 주입하고 포트를 삽입한 뒤 로봇 암을 위치시킨다. 로봇 암과 카메라가 들어가게 되면 이제 원격 조정으로 수술을 하게 된다.
ㆍ수술들의 공통점은 복강경 수술이 가능하다는 것과, 미세 혈관 및 성형이 필요한 수술들이라 고 할 수 있다. 로봇이 대량 생산되고 가격이 저렴해 진다면 아마도 복강경 수술을 대체하게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결국 사람이 조정하는 수술이라는 것이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의 2가지 분류 - 매니퓰레이터, 이동로봇 (0) | 2021.05.15 |
---|---|
군사용 로봇의 역할과 종류 (0) | 2021.05.15 |
가정용 로봇의 종류와 역할 (0) | 2021.05.14 |
산업용 로봇의 종류 (0) | 2021.05.14 |
로봇의 응용분야 (0) | 2021.05.14 |